홈 네트워크 망 구성에 대한 고찰

요새 인터넷에 가입을 하면 공인 IP를 8개까지 열어준다. 인터넷 + 인터넷 전화 + IP TV까지 다 가입하는 경우 얘기다.

집에 사용하는 장비가 8개 이하라면 모두 공인 IP를 사용하면 괜찮을 것 같다. 하지만 IP 할당되는 장비가 8개 이상이라면 모두 공인 IP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공인 IP를 쓸 것과 사설 IP를 나눠야 한다.

이것이 또 문제가 되는게 장비들끼리 서로서로 엑세스가 안된다는 점이다. 예를들어 데스크탑은 공인 IP를 주고, 프린터는 사설 IP를 준다고 하면 데스크탑에서 프린터를 볼 수가 없다. 그렇다고 프린터에 공인 IP를 할당해주면 사설 IP인 아이폰에서 Air Print를 사용할 수 없게 되니 이것 또한 문제.

처음에는 이더넷은 브리지로 공인 IP를 받고 무선 장비들은 사설망으로 사설 IP를 받게 해 봤다. 그럭저럭 쓸만 하지만, 서로 엑세스 할 일이 아예없는것이 아니라서 불편하다. 예를들어 아이폰의 WiFi Sync를 할 수 없다던가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내가 내린 결론은 다 사설 IP를 사용하는 것이다. -_-;;

이렇게 되면 외부에서 접근할 때 문제가 생기는데, 포트포워딩을 적절하게 해 줘서 해결하면 어느정도 사용할 수는 있다. SSH를 위한 포트를 리눅스 서버로 연결해두면 데스크탑 PC로는 외부에서 바로 엑세스를 못 하지만, 리눅스 서버에서 데스크탑에 접속할 수 있으니 좀 불편하더라도 사용할 수는 있다.

공인 IP 사용

  1. IP TV
  2. Time Capsule

사설 IP 사용

  1. Time Capsule (gateway)
  2. Airport Express
  3. 데스크탑
  4. 노트북
  5. 프린터
  6. iPhone 4S
  7. iPhone 5
  8. iPad
  9. NAS
  10. 인터넷 전화
  11. Eye-Fi 카드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